안녕하세요~ 오늘은 Jenkins와 gitlab 연동을 해보겠습니다. Jenkins의 주요 사용 목적이 소스서버에 푸시를 하고 그 소스를 가지고 빌드 및 테스트 배포까지 진행하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저도 간단한 Spring으로 구성한 테스트 프로젝트를 gitlab에 푸시를 해두었습니다. 최종 목표는 위의 소스를 저의 리눅스 서버에 설치한 Tomcat에 배포를 시켜 아래의 화면을 띄우는 것입니다. Jenkins plugin 설치 우선 Jenkins으로 접속하여 왼쪽에 있는 ‘Jenkins 관리’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제일 상단에 보이는 플러그인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플러그인 항목에 들어가시면 아래처럼 플러그인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탭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설치된 플러그인 목록’ 에서 ‘Git plugi..
블로그 이전 작업 중입니다. https://suwoni-codelab.com/linux/2017/06/04/Linux-CentOS-jenkins/ 안녕하세요~ 오늘은 Jenkins 설치를 해보겠습니다. 아래 링크는 Jenkins란 어떤 툴인지 설명이 잘되어 있는 블로그입니다. http://www.moreagile.net/2013/01/jenkins-cicontinuous-integration-1.html http://www.moreagile.net/2014/01/jenkins-cicontinuous-integration-2.html 단위테스트가 강조되고 있는 현대 개발 흐름에서 소스형상관리툴과 연계하여 단위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하고 프로덕션이나 테스트 환경에 배포를 진행해주는 툴입니다. Jenkins 설..
- Total
- 188,562
- Today
- 32
- Yesterday
- 399
- jenkins
- gitlab
- 젠킨스
- JavaScript
- Linux
- 깃랩
- 채팅
- MongoDB
- Firebase
- 파이어베이스
- pyenv
- django 모델
- 파이썬
- 리눅스
- CentOS
- Python
- MariaDB
- 몽고DB
- 타입체크
- NoSQL
- 자바스크립트
- 마리아DB
- 숫자키 입력방지
- django
- 마리아 db
- 모던 자바스크립트 입문
- tomcat
- mongo
- Apache
- electron